시장,경제 관련 뉴스 정리/특허 및 기술 관련 기사 정리

[로보틱스,바이오]일본 마루야마제작소, 자율주행 농약 분무 로봇 개발

  • -
반응형

 

 

[로보틱스,바이오]일본 마루야마제작소, 자율주행 농약 분무 로봇 개발

 

 


#기사 원문

https://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4797

 

일본 마루야마제작소, 자율주행 농약 분무 로봇 개발 - 로봇신문사

일본 농업용 기기 전문기업 마루야마제작소(丸山製作所)는 자율주행 스마트 농약 분무 로봇인 ‘스마트 셔틀’을 개발하고 쿠보타가 운영하는 최첨단 농...

www.irobotnews.com

 

일본 농업용 기기 전문기업 마루야마제작소(丸山製作所)는 자율주행 스마트 농약 분무 로봇인 ‘스마트 셔틀’을 개발하고 쿠보타가 운영하는 최첨단 농업 기술 전시 시설인 ‘테크랩’(Tech Lab)에 도입했다고 밝혔다.

 

컨셉 모델로 개발된 스마트 셔틀은 비닐하우스 또는 농장 내부를 자율주행하면서 방제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 시간 단축, 안정성 향상 등 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다.

 

스마트 셔틀은 농장내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tag)와 로봇 본체에 내장돼 있는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취득하고 자신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비닐하우스나 농장을 자율주행하면서 호스를 통해 분무 작업을 수행한다.

기존 로봇방제기는 밭 고랑내에서만 직선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고랑으로 이동할 때는 사람이 수동으로 옮겨야 했다. 이에 비해 스마트 셔틀은 비닐하우스나 농장 전체를 자율 이동하는 게 가능하다. 방제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약 75% 절감할 수 있다.

 


 

# 인사이트.

 

  1. 시장 기회 및 성장 잠재력:
    • 농업 자동화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특히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각한 일본 농업 시장에서 이러한 기술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글로벌 스마트 농업 시장으로의 확장 가능성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2. 비용 절감 및 효율성 향상:
    • 방제 작업 시간을 75%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은 큰 비용 절감 효과를 의미합니다. 이는 농가의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노동 집약적인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인건비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기술 혁신 및 경쟁력:
    • GPS가 작동하지 않는 환경에서도 자율주행이 가능한 기술은 경쟁 우위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원격 조작 및 모니터링 기능은 데이터 기반의 정밀 농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4. 데이터 활용 가능성:
    • 로봇의 작업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면 농작물 생산성 향상, 농약 사용량 최적화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가능성도 있습니다.
  5. 리스크 및 고려사항:
    • 초기 투자 비용이 높을 수 있어, 중소 농가의 도입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기술의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가 중요합니다. 오작동 시 농작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데이터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대책도 필요합니다.
  6. 사업 확장 전략:
    • 농약 분무 외에도 다양한 농업 작업에 적용 가능한 모듈형 로봇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 구독 모델이나 서비스형 로봇(RaaS)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7. 파트너십 및 생태계 구축:
    • 농업 IoT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해 종합적인 스마트팜 솔루션으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 한국 시장으로 가져온다면?

 

  1. 시장 잠재력:
    • 한국 농업 인구의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문제를 고려할 때, 자동화 농업 기기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스마트팜 정책을 추진 중인 한국 정부의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 기술 적용성:
    • GPS가 작동하지 않는 비닐하우스 환경에서도 작동하는 기술은 한국의 시설 농업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 한국의 발달된 IT 인프라를 활용해 더욱 정교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3. 비용 효율성:
    • 방제 작업 시간을 75%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은 한국 농가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인건비 절감 효과로 농가의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안전성 향상:
    • 농약 살포 작업의 자동화로 농업인의 농약 노출을 줄일 수 있어, 건강 및 안전 측면에서 긍정적입니다.
  5. 데이터 기반 농업:
    • 로봇의 작업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정밀 농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한국의 발달된 빅데이터 분석 기술과 결합하여 농업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6. 현지화 필요성:
    • 한국의 농업 환경과 작물 특성에 맞게 로봇의 기능과 설계를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한국어 인터페이스 및 사용 매뉴얼 개발이 필요할 것입니다.
  7. 규제 및 인증:
    • 한국의 농업 기계 안전 규정 및 인증 절차를 고려한 제품 개발이 필요합니다.
    • 농약 사용에 관한 한국의 규제를 준수하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8. 협업 가능성:
    • 한국의 농업 기계 제조업체나 IT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시장 진입 및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9. 교육 및 지원 시스템:
    • 농업인들이 새로운 기술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과 기술 지원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