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여객터미널 5G 특화망 구축 설계 시작 제1여객터미널도 단계적으로 추진 계획 “스마트 공항 내 디지털전환 서비스 촉진”
# 기사 원문 내용.
인천국제공항이 오는 2026년까지 ‘5G(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을 구축하고 자율주행 로봇 도입 등을 추진한다. 5G 특화망을 통해 스마트 공항으로 거듭나 ‘세계 최고 공항’ 1위로 재도약한다는 목표다. 5G 특화망이란 특정 산업이나 장소에 맞춤형으로 구축되는 5G망으로, 한국의 경우 4.7㎓(기가헤르츠)와 28㎓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7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이달 중으로 제2여객터미널에 5G 특화망 구축 설계를 시작해 6개월 동안 진행한다. 기존에 구축된 LTE(4세대 이동통신) 통합공공망과 5G 특화망을 효율적으로 융합한 인프라 전략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설계가 마무리되는 대로 5G 특화망을 구축할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승인받은 국내 5G 특화망 사업자는 네이버클라우드, LG CNS, CJ올리브네트웍스, KT MOS, 현대오토에버, 메가존클라우드, LG전자, 포스코DX 등 19곳이 있다. 이들 기업은 5G 특화망 구축을 원하는 기업·기관을 대상으로 수주 경쟁을 펼치고 있다
선정된 5G 특화망 사업자는 15개월 동안 설비 구축과 시험 운영 및 최적화를 거쳐 운영에 들어간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관계자는 “5G 특화망 운영 시점은 2026년 하반기로 예상한다”며 “제1여객터미널도 5G 융합 서비스의 확장 추이와 종합적인 개선 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해 8월 KT와 5G 특화망 도입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광대역화된 스마트 공항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5G 특화망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것이 공사 측 설명이다.
한때 세계 국제공항 경쟁력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던 인천국제공항은 최근 순위가 하락한 상황이다. 스카이트랙스 등의 평가에서 카타르 도하공항, 싱가포르 창이공항, 도쿄 하네다공항 등에 밀리면서 3~5위권에 머물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관계자는 “최근 인천공항은 비전 2040 전략 선포식을 통해 디지털 공항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5G 특화망 구축은 자율주행 로봇 등 스마트 공항의 디지털전환(DX) 서비스를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사이트
투자 및 재무적 영향:
5G 특화망 구축에 따른 대규모 투자가 예상됩니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비용 증가를 의미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운영 효율성 향상과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투자 대비 수익(ROI) 분석이 중요할 것이며, 5G 특화망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와 새로운 서비스 수익을 정량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5G 특화망은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공항 운영에 관한 더 정확하고 신속한 데이터 분석과 의사결정을 지원할 것입니다.
자율주행 로봇 등의 도입으로 생성되는 새로운 데이터 스트림을 활용한 예측 분석과 최적화 모델 개발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시장 기회 및 경쟁력:
5G 특화망 구축은 인천국제공항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현재 3-5위권에 머물고 있는 순위를 1위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공항으로의 전환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수익원 창출의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
5G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 개발이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AR) 기반 네비게이션, 실시간 수하물 추적, 맞춤형 여행자 서비스 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 로봇 도입은 인력 운영 효율화와 비용 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산업 동향 및 파트너십:
5G 특화망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이 중요할 것입니다. 19개의 승인된 사업자 중 최적의 파트너를 선정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성공에 핵심이 될 것입니다.
타 산업과의 융합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와의 연계 등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대규모 IT 프로젝트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구축 지연, 예산 초과, 보안 문제 등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5G 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2026년까지의 기술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불안한점 및 미비사항 수정해야 하는 것.
인프라 투자 리스크:
5G 망 설비가 충분히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는 리스크를 수반합니다. 투자 대비 실제 서비스 제공 및 수익 창출까지의 시간 격차로 인한 재무적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초기 투자 비용과 운영 비용을 정확히 산정하고, 단계적 구축 전략을 통해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방안을 고려해야 합니다.
서비스 품질 및 고객 만족도:
불완전한 5G 망 설비로 인해 서비스 품질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고객 만족도 하락과 브랜드 이미지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자 경험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점을 신속히 개선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기술 표준화 및 호환성:
5G 기술 표준이 완전히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투자는 향후 호환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표준화 동향을 주시하고, 유연한 시스템 구조를 채택하여 향후 업그레이드 비용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경쟁사 대응:
5G 망 구축 속도와 품질이 경쟁 공항들과 비교하여 뒤처질 경우,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경쟁사들의 5G 구축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전략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규제 및 정책 변화:
5G 기술 관련 규제 환경이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 않아, 향후 정책 변화에 따른 추가 비용이나 서비스 제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부 및 규제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단계적 구현 전략:
5G 망 설비의 미비점을 고려하여, 전면적 도입보다는 단계적 구현 전략을 채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핵심 서비스 영역부터 우선 구축하고, 점진적으로 확장해 나가는 방식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고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