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경제 관련 뉴스 정리/특허 및 기술 관련 기사 정리

[특허]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특허통계센터, “전통 제조업에서 첨단산업 분야로 특허 출원량 변화 지속”

  • -
반응형

 

 

[특허]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특허통계센터, 

“전통 제조업에서 첨단산업 분야로 특허 출원량 변화 지속”

 


 

[원문 기사]

https://www.e-patentnews.com/11337

 

≪특허뉴스≫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특허통계센터, “전통 제조업에서 첨단산업 분야로 특허 출

출처=freepik ©특허뉴스지난4월,2023년국내산업재산권출원동향및주요특징을분석한한국지식재산연구원특허통계센터의보고서가발표되었다.동보고서는2

www.e-patentnews.com

[원문 내용]

지난 4월, 2023년 국내 산업재산권 출원동향 및 주요 특징을 분석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특허통계센터의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동 보고서는 2023년 우리나라 특허 및 상표·디자인 출원동향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전 세계적인 긴축통화정책 등의 영향으로 세계 경제성장률은 2022년 이후 둔화추세이지만 2023년 주요국 특허출원 증가율은 2022년 대비 증가하였다. 우리나라도 2023년 GDP 증가율은 1.4%로 전년(2.6%)보다 감소했으나 특허출원은 2.4%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2022년 연구개발 투자의 증가(10.3%)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3년 국내 특허출원은 전통 제조업에서 첨단산업 분야로 특허 출원량 변화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출원증가율과 비중을 고려해서 산출한 변동영향지수는 일차전지 및 축전지 제조업, 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기타 정밀 기기 제조업, 반도체 제조업, 컴퓨터 제조업,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일차전지 및 축전지 제조업(14.9% 증가)은 2022년 2위에서 2023년 1위로 상승하였는데, 특히 2차전지 기술을 중심으로 대기업, 중소기업, 대학·공공연 모두 출원량이 증가했다. 2위를 기록한 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기타 정밀 기기 제조업(7.2% 증가)과 4위 컴퓨터 제조업(7.4% 증가)의 출원량 증가는 대기업 주도로 이루어졌다. 반도체 제조업(4.7% 증가)은 5위(22년)에서 3위(23년)로 순위가 상승하였지만, 상위 10대 출원인 중 5개가 해외기업이다. 국적을 구분하면 일본기업의 출원량은 증가(5.6%)한데 반해, 미국과 중국(대만 포함)기업의 출원량은 감소했다(각각 –25.8%, -20.3%).  

 

한편 그 해에 최초로 특허를 출원한 신규출원인의 수와 전체 특허에서 신규출원인 특허가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글로벌 경기둔화와 3고(高) 등이 창업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제조업 창업기업수가 크게 감소한 것과 관련된다.

 

이들 신규출원인의 비중은 기술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 반도체, 바이오, 화학 등 첨단분야에서는 신규출원인의 진입이 어려운 반면(신규출원인 비중 10.9%~17.4%), 식료품, 소비재물품, 전자상거래 분야에서는 전체 출원인 중 신규출원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47.2%~49.9%)에 가깝다. 또한, 산업별 신규출원인 비중변화를 통해 산업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1차 철강, 기타 무선 통신장비 제조업의 경우 신규출원인의 진입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산업이지만 최근 신규출원인 활동이 증가하고 있어 해당 산업에서 향후 특허출원의 증가를 예상해볼 수 있다. 

 

2023년 상표출원은 2022년(-9.4%)에 이어 역성장(-1.5%)을 지속하였다. 중소·중견기업 및 외국인의 상표 출원이 감소하였으나, 내국개인의 출원 활동에 힘입어 감소폭이 축소된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상품분류별로 증가/감소를 살펴보고 있는데, 주요 감소분야는 09류 진단·검사, 42류 과학적·기술적 서비스업, 36류 금융·은행업·보험서비스업 등 분야이고, 35류 광고업, 43류 식음료제공서비스업 등 분야는 상표출원이 증가한 분야였다.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특허통계센터는“산업재산 데이터를 경제, 무역, 산업 데이터와 연계하여 세부 기술별, 산업별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은 현 상황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흐름 파악에 매우 유용하다”라고 강조했다.


 

[중점 사항]

  1. 사업기획 관점:
    • 첨단산업 분야(2차전지, 반도체, 컴퓨터 제조업)에 대한 투자 및 R&D 강화 필요성
    • 신규 기업의 특허 출원 지원 방안 모색
    • 상표출원 감소 추세에 대응한 브랜드 전략 수립
  2. 정책기획 관점:
    • 첨단산업 분야 육성을 위한 정책 지원 강화
    • 신규 기업의 특허 출원을 장려하기 위한 지원 정책 수립
    • 해외 기업의 국내 특허 출원 동향에 대응한 정책 마련
  3. 데이터분석 관점:
    • 산업별 특허 출원 동향과 경제 지표 간의 상관관계 분석
    • 신규출원인 비중 변화를 통한 산업 변화 예측 모델 개발
    • 상표출원 동향과 산업 활성화 간의 연관성 분석

 

 

[인사이트,]

1. 경제 지표와 특허 출원의 관계: 경제 성장률 둔화에도 불구하고 특허출원이 증가한 것은 R&D 투자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이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R&D 투자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2. 산업 구조의 변화: 전통 제조업에서 첨단산업 분야로의 특허 출원 변화는 한국 산업 구조의 변화를 반영합니다. 이는 정부와 기업이 첨단산업 육성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의미합니다.

 

3. 글로벌 경쟁 심화: 반도체 분야에서 해외 기업의 특허 출원 비중이 높은 것은 이 분야에서의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4. 창업 환경 개선 필요: 신규출원인의 감소는 창업 환경의 악화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창업 지원 정책의 강화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5. 산업 예측 도구로서의 특허 데이터: 신규출원인 비중 변화를 통해 산업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은 특허 데이터가 산업 동향 예측의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6. 서비스업의 성장: 상표출원에서 일부 서비스업 분야의 증가는 한국 경제에서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